Difference between revisions of "전라 dialect"
Kim Yoonmi (Talk | contribs) (→Location) |
(→Vocabulary) |
||
(7 intermediate revisions by 3 users not shown) | |||
Line 2: | Line 2: | ||
==Location== | ==Location== | ||
This is used in the 전라 region of South Korea. | This is used in the 전라 region of South Korea. | ||
− | == | + | ==Inflection== |
− | 전라 | + | 전라 inflection rolls like a hill. Unlike Seoul Dialect, it does not go up a hill, go over roll and stop before going over. Instead, it rolls up and down within the sentence, especially on connecting words. It's smooth and does not spike in volume or pitch. |
==Pronunciation== | ==Pronunciation== | ||
+ | Regarding pronunciation differences, there is often a tendency to pronounce only the second vowel in a diphthong. For example, the verb ending that indicates "since", -neundae, becomes -neundi (는디). The name of the large city Gwangju (광주) becomes Gangju (강주), and the verb 'to not have, to be absent', eopda 없다, becomes very close to upda (웂다). There are some words that are unique to the dialect as well: utjeseo (웆제서) for "why", sibang (시방) for "now", and dwitgan (뒷간) for "outhouse". Jeolla dialect speakers have a tendency to end their sentences with -ing, (잉) especially when asking a favor. This can be compared to the word "eh," as used by some Canadians.--[[User:Snow|Snow]] ([[User talk:Snow|talk]]) 12:18, 1 June 2013 (PDT) | ||
==Grammar== | ==Grammar== | ||
+ | Perhaps the most obvious difference comes from common verb endings. In place of the usual -seumnida (습니다 [sɯmnita]) or -sehyo (세요 [sɛjo]) endings, a southern Jeolla person will use -rau (라우 [ɾau]) or -jirau (지라우 [tɕiɾau]) appended to the verb. For a causative verb ending, expressed in standard language with a -nikka (니까 [nik͈a]) ending, Jeolla people use -ngkkei (능게 [ŋk͈ei]), so the past tense of the verb "did" ("because someone did it"), haesseunikka (했으니까 [hɛs͈ɯnik͈a]), becomes haesseungkke (했승게 [hɛs͈ɯŋk͈e]). A similar sound is used for the quotative ending, "somebody said...". The usual verb endings are -dago (다고 [tako]) and -rago (라고 [ɾako]). Jeolla dialect prefers -dangkke (당게 [taŋk͈e]). | ||
+ | --[[User:Snow|Snow]] ([[User talk:Snow|talk]]) 12:17, 1 June 2013 (PDT) | ||
+ | |||
==Vocabulary== | ==Vocabulary== | ||
{| class="wikitable sortable" | {| class="wikitable sortable" | ||
Line 13: | Line 17: | ||
! 전라 Dialect !! Standard Korean !! English | ! 전라 Dialect !! Standard Korean !! English | ||
|- | |- | ||
− | | | + | | 거시기 |
− | | | + | | 그것, 무엇 |
− | | | + | | Whatchamacallit, unsure of the word. |
+ | |- | ||
+ | | 그러니께, 그닝께, 긍께 | ||
+ | | 그러니까 | ||
+ | | Therefore, because | ||
|} | |} | ||
{{NeedsNativeCheck|If you know any of the following is used currently in this dialect, please add it to the above table. Otherwise, you may assume that the following is either not currently used or even incorrect.}} | {{NeedsNativeCheck|If you know any of the following is used currently in this dialect, please add it to the above table. Otherwise, you may assume that the following is either not currently used or even incorrect.}} | ||
Line 42: | Line 50: | ||
*구뇽 : 구멍 | *구뇽 : 구멍 | ||
*귀경 : 구경 | *귀경 : 구경 | ||
− | *그러니께, 그닝께 : 그러니까 | + | *그러니께, 그닝께, 긍께 : 그러니까 |
*그럭 : 그릇 | *그럭 : 그릇 | ||
*그류 : 그래요 | *그류 : 그래요 | ||
Line 173: | Line 181: | ||
*숨키다 : 감추다 | *숨키다 : 감추다 | ||
*숫제 : 차라리 | *숫제 : 차라리 | ||
+ | *숭내 : 흉내 | ||
*숭본다 : 흉본다 | *숭본다 : 흉본다 | ||
*쉴찬히 : 상당히 | *쉴찬히 : 상당히 | ||
Line 187: | Line 196: | ||
*아래 : 그저께 | *아래 : 그저께 | ||
*아래께 : 그전에 | *아래께 : 그전에 | ||
+ | *암치께나 : 아무렇게나 | ||
*안녕하세유 : 안녕하세요 | *안녕하세유 : 안녕하세요 | ||
*알것슈 : 알겠습니다 | *알것슈 : 알겠습니다 | ||
Line 254: | Line 264: | ||
*헐하다 : 값이 싸다 | *헐하다 : 값이 싸다 | ||
*호랭이 : 호랑이 | *호랭이 : 호랑이 | ||
+ | |||
==Phrases== | ==Phrases== | ||
{| class="wikitable sortable" | {| class="wikitable sortable" | ||
Line 260: | Line 271: | ||
! 전라 Dialect !! Standard Korean !! English | ! 전라 Dialect !! Standard Korean !! English | ||
|- | |- | ||
− | | | + | | 사람들이 되도 않는 전라도말 숭내를 내는 경우가 잦소. 재밌는 주 안당께? |
− | | | + | | 사람들은 알지도 못하는 전라방언의 흉내를 내는 경우가 자주 있어요. 그들은 그것이 재밌는 줄 알고있다니까요? |
− | | | + | | People that do not know how speak Jeolla-dialect often imitate Jeolla-dialect. They think it is funny. |
+ | |- | ||
+ | | 어린 아들일 수록 방언을 거으 쓰지 않지라. | ||
+ | | 어린 아이(or 젊은 사람)들일 수록 방언을 거의 쓰지 않아요. | ||
+ | | Young people are rarely speaks in dialect. | ||
|} | |} | ||
{{NeedsNativeCheck|If you know any of the following is used currently in this dialect, please add it to the above table. Otherwise, you may assume that the following is either not currently used or even incorrect.}} | {{NeedsNativeCheck|If you know any of the following is used currently in this dialect, please add it to the above table. Otherwise, you may assume that the following is either not currently used or even incorrect.}} |
Latest revision as of 22:49, 6 June 2013
|
Help · Cheat Sheet · Community portal |
Location
This is used in the 전라 region of South Korea.
Inflection
전라 inflection rolls like a hill. Unlike Seoul Dialect, it does not go up a hill, go over roll and stop before going over. Instead, it rolls up and down within the sentence, especially on connecting words. It's smooth and does not spike in volume or pitch.
Pronunciation
Regarding pronunciation differences, there is often a tendency to pronounce only the second vowel in a diphthong. For example, the verb ending that indicates "since", -neundae, becomes -neundi (는디). The name of the large city Gwangju (광주) becomes Gangju (강주), and the verb 'to not have, to be absent', eopda 없다, becomes very close to upda (웂다). There are some words that are unique to the dialect as well: utjeseo (웆제서) for "why", sibang (시방) for "now", and dwitgan (뒷간) for "outhouse". Jeolla dialect speakers have a tendency to end their sentences with -ing, (잉) especially when asking a favor. This can be compared to the word "eh," as used by some Canadians.--Snow (talk) 12:18, 1 June 2013 (PDT)
Grammar
Perhaps the most obvious difference comes from common verb endings. In place of the usual -seumnida (습니다 [sɯmnita]) or -sehyo (세요 [sɛjo]) endings, a southern Jeolla person will use -rau (라우 [ɾau]) or -jirau (지라우 [tɕiɾau]) appended to the verb. For a causative verb ending, expressed in standard language with a -nikka (니까 [nik͈a]) ending, Jeolla people use -ngkkei (능게 [ŋk͈ei]), so the past tense of the verb "did" ("because someone did it"), haesseunikka (했으니까 [hɛs͈ɯnik͈a]), becomes haesseungkke (했승게 [hɛs͈ɯŋk͈e]). A similar sound is used for the quotative ending, "somebody said...". The usual verb endings are -dago (다고 [tako]) and -rago (라고 [ɾako]). Jeolla dialect prefers -dangkke (당게 [taŋk͈e]). --Snow (talk) 12:17, 1 June 2013 (PDT)
Vocabulary
전라 Dialect | Standard Korean | English |
---|---|---|
거시기 | 그것, 무엇 | Whatchamacallit, unsure of the word. |
그러니께, 그닝께, 긍께 | 그러니까 | Therefore, because |
This page needs clarification from a native speaker or expert. Reason: If you know any of the following is used currently in this dialect, please add it to the above table. Otherwise, you may assume that the following is either not currently used or even incorrect. |
- 가랭이 : 가랑이
- 가름배/가름마 : 가리마
- 가생이/가석 : 가장자리
- 가세 : 가위
- 가심 : 가슴
- 가찹다 : 가깝다
- 갈굽다/개렵다 : 가렵다
- 갈치다 : 가르치다
- 감낭구 : 감나무
- 강구 : 바퀴벌레
- 개갈안난다 : 시원찮다
- 개와 : 기와
- 갱맥이 : 꽹과리
- 건건이 : 반찬
- 고랑/두럭 : 두렁
- 고망쥐 : 생쥐
- 고뺑이 : 고삐
- 곤두래미 : 고드름
- 광우리 : 광주리
- 괴기 : 고기
- 굉일 : 공휴일
- 구녁 : 구멍
- 구뇽 : 구멍
- 귀경 : 구경
- 그러니께, 그닝께, 긍께 : 그러니까
- 그럭 : 그릇
- 그류 : 그래요
- 그머리/금저리 : 거머리
- 그이 : 게
- 그지/으더박시 : 거지
- 근디,그런디 : 그런데
- 글페 : 글피
- 기여? : 그래?
- 기저구 : 기저귀
- 기집애/가시나 : 계집애
- 까시 : 가시
- 깔따구 : 각다귀
- 깔쿠리 : 갈퀴
- 깝깝하다 : 갑갑하다
- 깡개 : 누룽지
- 깨구락지 : 개구리
- 꺼꿀로 : 거꾸로
- 꼬두머리 : 곱슬머리
- 꼬들빼기 : 씀바귀
- 꼭꽹이 : 곡괭이
- 꾸룬내 : 구린내
- 끈치다 : 그치다
- 나꾸다 : 낚다
- 나락 : 벼
- 나섰다 : 나았다
- 나싱개 : 냉이
- 나여 : 나야
- 난중에 : 나중에
- 날망 : 언덕 위
- 낫살 : 나이
- 낭구 : 나무
- 내굽다 : 눈이 맵다
- 내뿌리다 : 내버리다
- 내삘다 : 버리다
- 냉거지 : 나머지
- 냉기다 : 남기다
- 노내각시 : 노래기
- 노상/맨날 : 늘
- 놋그럭 : 놋그릇
- 눈꼽재기 : 눈곱
- 니가혀 : 네가 해라
- 니열 : 내일
- 다리쇠 : 삼발이
- 다무락 : 담장
- 달개다 : 달래다
- 달버 : 달라
- 대가리 : 머리
- 대근하다 : 힘들다.
- 대꼬바리 : 담뱃대
- 대접 : 사발
- 댕기다 : 다니다
- 도매 : 도마
- 도슬비/올뱅이 : 다슬기
- 독새 : 독사
- 독짝 : 돌
- 돌가지 : 도라지
- 동상 : 동생
- 동상 : 아우
- 동세 : 동서
- 돼배 : 도배
- 드시다 : 거세다
- 등어리 : 등
- 딩게 : 쌀겨
- 따바리 : 똬리
- 땅개비 : 방아깨비
- 땅두드레기 : 두더지
- 땡기다 : 당기다
- 땡끼벌 : 땅벌
- 또랑/깨구랑창 : 개울
- 뚝방 : 방죽
- 뜨럭 : 뜰
- 뜬물 : 진딧물
- 마빡 : 이마
- 맥기다 : 맡기다
- 맨날 : 매일
- 멜빵 : 각띠
- 모개 : 모과
- 모냥 : 모양
- 모탱이 : 모퉁이
- 몽뎅이 : 몽둥이
- 몽땅 : 모두
- 무르팍 : 무릎
- 물구렁 : 수렁
- 물러 : 몰라
- 미꾸리 : 미꾸라지
- 바게미 : 바구미
- 바우/방구 : 바위
- 반굉일 : 토요일
- 반천 : 절반
- 발꼬락 : 발가락
- 발랑개비 : 바람개비
- 발통 : 바퀴
- 배까티 : 바깥에
- 배룸빡 : 바람벽
- 백히다 : 박히다
- 뱜 : 뱀
- 버듬 : 버짐
- 버버리 : 벙어리
- 벌거지 : 벌레
- 베락 : 벼락
- 벽장 : 다락
- 복판 : 가운데
- 봉창/호주머니 : 주머니
- 부추 : 정구지
- 비게 : 베게
- 빠꿈살이 : 소꿉장난
- 빼다지 : 서랍
- 뻬 : 뼈
- 뼉따구 : 뼈
- 뿌랭이 : 뿌리
- 뿐질르다 : 꺾다
- 사둔 : 사돈
- 산내끼 : 새끼줄
- 산태미 : 삼태기
- 삽작 : 대문
- 삽짝 : 사립문
- 샴 : 샘
- 성 : 형
- 성가시다 : 괴롭다
- 셤 : 수염
- 소두방 : 솥뚜껑
- 소캐 : 솜
- 소쿠리 : 대바구니
- 손꼬락 : 손가락
- 솔깽이 : 솔가지
- 쇠경 : 봉사
- 수구리다 : 숙이다
- 수깔/숫갈 : 숟가락
- 숨키다 : 감추다
- 숫제 : 차라리
- 숭내 : 흉내
- 숭본다 : 흉본다
- 쉴찬히 : 상당히
- 시방 : 지금
- 시방 : 지금
- 쌔빠닥 : 혀
- 쎄 : 혀
- 쐬주 : 소주
- 쓰르메 : 오징어
- 씅내다 : 화내다
- 씅질 : 성질
- 씨게 : 세게
- 씨굽다 : 쓰다
- 아래 : 그저께
- 아래께 : 그전에
- 암치께나 : 아무렇게나
- 안녕하세유 : 안녕하세요
- 알것슈 : 알겠습니다
- 양발 : 양말
- 어저께 : 어제
- 얼른 : 빨리
- 얼추/거지반 : 거의
- 엥간히/대충 : 적당히
- 여태/안직 : 아직
- 오디 : 어디
- 오디께 : 어디근처
- 오째 : 어째
- 오츠케 : 어떻게
- 왕탱이/바두리 : 말벌
- 욍깐/오양깐 : 외양간
- 요새 : 요즘
- 원생이 : 원숭이
- 원채 : 워낙
- 윗도리 : 상의
- 으붓에미 : 계모
- 읍써 : 없어
- 이깝 : 낚싯밥
- 이깝 : 미끼
- 이쁘다 : 예쁘다
- 인저 : 이제
- 인제 : 이제
- 일가 : 친척
- 일쎄 : 일으켜
- 잎싸구/잎새기 : 잎
- 자빠지다 : 넘어지다
- 작대기 : 막대기
- 장꽝 : 장독대
- 장딴지 : 종아리
- 장물/지렁 : 간장
- 저범 : 젓가락
- 적 : 부침개
- 정지 : 부엌
- 제우 : 겨우
- 지꺼리 : 짓
- 지장 : 기장
- 직여 : 죽여
- 짐치 : 김치
- 징글맞다 : 징그럽다
- 짤룹다 : 짧다
- 쩔뚝바리 : 절름발이
- 쭐거리 : 줄기
- 찌끄레기 : 찌꺼기
- 찌울다 : 기울다
- 천상 : 하는 수 없이
- 칙간 : 뒷간
- 타래박 : 두레박
- 탑시기 : 먼지
- 탑쎄기 : 먼지
- 퇴침 : 목침
- 티껌불 : 티끌
- 푸대 : 자루
- 피마자 : 아주까리
- 한양 : 같이
- 해전 : 하루
- 했간? : ~했어?
- 했댜 : ~했데
- 했슈 : ~했어요
- 행상 : 상여
- 허리빵 : 허리띠
- 허지마,아서 : 하지마
- 헐껴? : ~할꺼야?
- 헐하다 : 값이 싸다
- 호랭이 : 호랑이
Phrases
전라 Dialect | Standard Korean | English |
---|---|---|
사람들이 되도 않는 전라도말 숭내를 내는 경우가 잦소. 재밌는 주 안당께? | 사람들은 알지도 못하는 전라방언의 흉내를 내는 경우가 자주 있어요. 그들은 그것이 재밌는 줄 알고있다니까요? | People that do not know how speak Jeolla-dialect often imitate Jeolla-dialect. They think it is funny. |
어린 아들일 수록 방언을 거으 쓰지 않지라. | 어린 아이(or 젊은 사람)들일 수록 방언을 거의 쓰지 않아요. | Young people are rarely speaks in dialect. |
This page needs clarification from a native speaker or expert. Reason: If you know any of the following is used currently in this dialect, please add it to the above table. Otherwise, you may assume that the following is either not currently used or even incorrect. |
- None so far